![](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8UJke/btsGKURNnNF/FniVgNp92EkivWwEfDTXU0/img.webp)
2021년 말부터 급여명세서 (임금명세서) 교부 의무화가 시행되었죠.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 어려움을 겪고 계신 사장님을 위해 급여명세서와 임금명세서 차이, 미교부시 처벌 내용과 필수 기재 사항에 대해 안내드리겠습니다. 아래 임금명세서 작성 예시와 방법이 설명된 문서도 큰 도움이 됩니다. 🔽 임금명세서 작성 예시 및 작성 방법 🔽 (초단시간근로자, 시급/일급/월급제 등) 급여명세서 미교부 과태료 급여명세서 / 임금명세서를 교부하지 않았을 경우, 최대 500만 원 이하의 교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는 5인 미만 사업장과 일용직의 경우에도 적용됩니다. 매월 임금 지급 시 함께 교부되어야 하며, 서면으로 직접 교부하거나 전자문서(문자, 카카오톡, 이메일 등)로 교부해야 합니다. 작성이 어려우신 경우 ▼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1pjQI/btsFmeSzx30/GqyIMMbVdeCSuwMhw7pvDK/img.png)
중대재해처벌법, 아직 주요 내용이 무엇인지 잘 모르셨죠? 이번 글에서는 대표님의 걱정을 줄여드리기 위해 중대재해와 중대재해처벌법이 무엇인지 설명을 드리고, 2024년 적용 대상 기업, 앞으로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 등 궁금하실 부분에 대해서도 다뤄보았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중대재해처벌법 Q&A만 확인해도 90% 대비 가능! 목차 1. 중대재해처벌법 뜻 - 중대산업재해 뜻 2. 적용 대상 기업 3. 사업장 별 준비 사항 중대재해처벌법 뜻 중대재해처벌법이란, 중대산업재해를 예방하고 기업 종사자의 생명,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 기업의 안전보건조치를 강화해야 한다는 것을 말하며, 만약 안전보건확보 의무를 위반해 중대산업재해가 발생할 경우, 사업주/경영책임자 등을 처벌하는 법을 의미합니다. 처벌에 대해 조..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0JQa5/btsEcpUCcA8/kFkzktPP4BWZxYvzWWpW9k/img.png)
근로계약서 상의 연봉과 실수령액이 달라서 많이 헷갈리셨죠? 아래 2024 연봉 실수령액 표 및 연봉 계산기를 참고해 보시고, 계약서에 적힌 연봉과 실수령액이 왜 다른 것인지 궁금하시다면, 의외로 복잡하거나 어렵지 않으니 이번 기회에 연봉 구조에 대해서도 알아보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목차 1. 2024 연봉 실수령액 (표) 2. 실수령액 공제 항목 3. 2024 최저임금 연봉 실수령액 4. 연봉 구조 2024 연봉 실수령액 (표) 아래 표는 연봉 2,500만 원부터 1억 원까지 2024년 기준으로 계산한 월 실수령액 표입니다. 공제대상 가족 수(부양가족)는 본인포함 1명으로 계산하였으나, 만일 공제대상 가족 수가 2명 이상이라면 아래 실수령액 계산기를 이용하시면 편리하게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실수령액 계..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0XV2/btsyTHUnxpq/k4d6suE8p2VZWRLpGdns61/img.png)
출산전후휴가 신청을 앞두신 분 또는 회사에 출산을 앞둔 직원이 있어 해당 제도에 대해 궁금하신 대표님은 이 글을 통해 도움 받으실 수 있습니다. 출산휴가 제도 및 대상자, 휴가 기간 동안 정부와 사업주가 지급하는 급여가 어떻게 되는지, 휴가 및 급여 신청방법을 모두 설명드리겠습니다. 목차 1. 출산전후휴가란? (유산/사산휴가 포함) 2. 출산휴가 급여 지급방식 3. 휴가급여 신청방법 4. 구비서류 및 서식 다운로드 5. 유산/사산휴가, 출산전후휴가 및 급여 요약 출산전후휴가 (유산/사산휴가 포함) 모성보호 육아 지원 사업에는 출산(전후) 휴가/유산사산휴가,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지원, 배우자 출산휴가 총 4가지가 있습니다. 근로기준법에서는 "산전후휴가"라고 부르는 "출산 전후 유산사산휴가"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