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근로자의날 출근하면 휴일수당 받을 수 있을까요? 지급 조건, 계산 방식, 정규직, 비정규직, 아르바이트 각각 차이까지 2025년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

 

 

 

 

근로자의날 일하면 휴일수당 지급 될까?

 

 

근로자의날(5월 1일)은 근로기준법 제55조에 따라 법정 유급휴일로 지정된 날입니다. 즉, 이 날은 근로자가 일하지 않아도 임금을 받을 수 있는 날 이며, 반대로 일했다면 추가 수당을 받아야 하는 날이기도 합니다.

 

휴일수당 지급 대상

✅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라면 누구나 해당

  • 정규직, 비정규직, 계약직, 파트타이머, 아르바이트 모두 포함
  • 단, 공무원/특수고용직/프리랜서는 해당 안 됨

📌 '근로자'는 사용자와 고용 계약을 맺고 임금을 받는 사람을 말함

 

근로자의날 휴일수당 지급 기준

상황 지급 여부 수당 계산 방식
출근 안 함 O 통상임금 100% (유급휴일)
출근 함 O 유급휴일수당 100% +
휴일근로수당 50~100% 추가
야간근무/연장근무 포함 시 O 가산수당 포함 최대 200% 이상 가능

 

예시:

최저시급 9860원 기준으로 근로자의 날 8시간 일하면,

👉 유급 8시간 + 휴일근로 8시간 = 약 157,760원 수령 가능

 

 

휴일근로수당 (명절 대체휴일, 근로자의 날 유급휴일 중복, 보상휴가)

휴일근로수당 계산하는 방법과 보상휴가 및 휴일대체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근로자의 날에 휴일근로 수당을 지급해야 하는지, 근로자의 날이 일요일이라면 대체휴일을 부여해야 하

icehongccc.tistory.com

 

 

 

아르바이트도 받을 수 있나요?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조건이 있어요.

  • 근로자의날이 원래 근무일이어야 하고
  • 해당 요일에 일한 기록이 있어야 합니다.

✅ 평소 수, 목, 금 일하는 아르바이트생이 5월 1일(목요일)에 쉬었다면 >> 유급휴일 인정

✅ 그날 나가서 일했다면 >> 최소 1.5배의 임금 이상 수령 가능

 

 

근로자의날 수당 미지급 신고 가능한가요?

가능합니다.

  • 사용자가 유급휴일임을 무시하고 무급처리하거나
  • 출근했는데도 수당 미지급한 경우 → 고용노동부에 임금체불로 신고 가능

📌 신고는 익명 가능, 사업장 명단 공개 위험도 있음

 

 

 

 

꼭 기억해야 할 포인트 정리

 

 

✔ 근로자의날은 근로자만을 위한 유급휴일

✔ 일하지 않아도 100% 임금 지급

✔ 일했다면 추가 수당 필수 지급

✔  단시간·알바라도 정상 근무일이라면 적용 대상

✔ 수당 미지급 시 고용노동부 신고 가능

 

 

 

 

 

함께 보면 좋은 글:

 

초과근무수당 계산 (포괄임금제 계약서 다운, 연장/ 야간/ 휴일 근무 가산수당)

근로자가 야간, 연장근무, 또는 휴일근무를 했을 경우 어떻게 추가로 임금을 지급해야 하는지, 가산 수당은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지 머리 아프셨죠? 연장, 야간, 휴일근무 시 시간 외 근로수당과

icehongccc.tistory.com

 

 

근로자의날 휴일수당 지급 기준
근로자의날 휴일수당 지급 기준